Programming 기초/Coding Test
[이코테 # Greedy2] 큰 수의 법칙, sort함수, 함수 매개변수의 콜론(:)과 화살표(->)의 의미
코딩상륙작전
2023. 6. 4. 00:14
# 배열의 크기 n, 숫자가 더해지는 횟수 m, 연속 인덱스 k번 제한
# original 답변
n, m, k = map(int, input().split())
data = list(map(int, input().split()))
data.sort()
max1 = data[4]
max2 = data[3]
mul1 = m // (k + 1)
mul2 = m % (k + 1)
sum = k * max1 * mul1 + max2 * mul1 + max1 * mul2
print(sum)
* sort 함수
def sort(self: list[SupportsRichComparisonT], *, key: None = None, reverse: bool = False) -> None: ...
위 코드는 sort 함수 정의의 일부분을 따온 것이다. 매개변수 옆의 콜론(:)과 마지막 화살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def 함수(매개변수1 : 형식 = 초기값, 매개변수 2 : 형식 = 초기값, ...) -> 반환 값의 형식
,key : None = None,
# 해석 : 매개변수 key의 형식은 None 이고 초기값은 None이다.
# 형식은 str, int, float, list 등을 말함.
) -> None : ...
# '->' 해석 : 해당 함수의 return 값의 형식이 None 타입이다.
# 형식은 int, str, list 등을 말함.
즉, sort함수는 반환값의 형식이 None이다. data=data.sort()의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 data 리스트를 정렬 시 그저 data.sort()만 적어주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