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
-
[이코테]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Programming 기초/Coding Test 2023. 8. 21. 17:40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m,k,x=map(int,input().split()) queue = deque() for _ in range(m): queue.append(tuple(map(int, input().split()))) distance=[0]*(n+1) # a노드부터 b노드까지 while queue: a, b=queue.popleft() if distance[b]==0: distance[b]=distance[a]+1 exist=False# k거리만큼 떨어진 도시가 있는가? for i in range(1, n+1): d=distance[i]-distance[x] if d == k or d==-k: print(i) exist=True if exist==False: pr..
-
-
[python] 기억해 둘 파이썬 문법&개념Programming 기초/Python 2023. 8. 19. 23:17
* all, any a=[False,True,True,False] b=[False,False,False,False] c=[True,True,True,True] print(all(a)) print(all(b)) print(all(c)) print(any(a)) print(any(b)) print(any(c)) ------------------------- False False True True False True * isdigit, title a="hello world do you know BTS?" b='1234567' print(a.isdigit()) print(a.title()) # 단어의 첫 문자만 upper. 나머진 lower print(b.isdigit()) # 띄어쓰기가 들어가도 False p..
-
[이코테] 모험가 길드,럭키 스트레이트Programming 기초/Coding Test 2023. 8. 18. 18:20
*그리디 # 1회차 시도 # 시간 초과 n=int(input()) arr=list(map(int,input().split())) arr.sort() count=0 visited=[False]*n for i, num in enumerate(arr): if i+num = max(arr[i:i+num]): for j in range(i,i+num): visited[j]=True count+=1 print(count) *구현 #1회차 -> 더 안 해도 될 듯 n=list(map(int,input())) m=len(n)//2 if sum(n[:m])==sum(n[m:]): print('LUCKY') else : print('READY')
-
[Pandas#1] Pandas 기초Machine Learning/numpy & pandas & maplotlib 2023. 8. 5. 20:35
* pandas 표 형식의 데이터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춰 설계된 라이브러리. pandas는 배열 기반의 함수를 제공하는 등 numpy의 배열 기반 계산 스타일을 많이 차용했다.(numpy는 단일 산술 배열 데이터를 다루는 데 특화되어 있다.) pandas는 Series와 DataFrame 크게 두 가지 자료구조를 갖는다. * import pandas as pd 라이브러리 호출. 관례적으로 pd로 이름을 지음. # 데이터 불러오기 예시 data_url = 'https://archive.ics.uci.edu/ml/machine-learning-databases/housing/housing.data' #Data URL # data_url = './housing.data' #Data U..
-
[Python] return self는 method chaining을 위함이다.Programming 기초/Python 2023. 8. 5. 00:04
* 클래스 내의 메서드(Method)에서 return self를 하는 이유 메서드 체이닝(Chaining)과 메서드 호출의 연속적인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메서드 체이닝은 한 줄의 코드에서 여러 메서드를 연속적으로 호출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obj.method1().method2().method3()와 같이 객체 obj의 메서드들을 연속해서 호출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메서드는 각각 self를 반환해야만 메서드 체이닝이 가능해진다. 메서드가 return self를 반환하면 해당 메서드는 자기 자신의 인스턴스를 반환한다. 따라서 다른 메서드를 호출할 때에도 동일한 객체에 대해 메서드를 연속해서 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코드를 간결하고 가독성이 높게 만들어준다. 예를 들어, 다음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