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불편추정량, 편의추정량Mathematics/statistics 2023. 12. 3. 20:50
불편 추정량과 편의 추정량 불편 추정량(unbiased estimate) 표본평균은 표본의 추정량의 기댓값이 모수와 같다. 편의 추정량(biased estimate) 표본의 추정량의 기댓값이 모수와 다르다. 고로 값을 보정해줘야하는데, 그 보정을 Bessel’s Correction(베셀 보정)라고 한다. $\begin{matrix} E(s^2) &=& E(\frac{1}{n}\sum_{i=1}^n (X_{i} - \bar{X})^2) \\ &=& \frac{1}{n}E(\sum_{i=1}^n (X_{i}^2 - 2X_{i}\bar{X} + \bar{X}^2) \\ &=& \frac{1}{n} E(\sum_{i=1}^n X_{i}^2 - 2\bar{X}\sum_{i=1}^n X..
-
[week4] 네부캠 ai tech 4주차 회고et al/AI Tech 6 2023. 12. 1. 19:59
2023.12.01. 금요일 네이버 부스트코스 ai tech 6기에 참여하고 4주가 흘렀다. 4주차 회고를 작성한다. 주차별 학습 내용 목차. 더보기 1주차 : 파이썬 기초 문법,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넘파이, 판다스, 기초 통계(MLE, 베이즈통계), 기초 선형대수학, AI기초(경사하강법, CNN, RNN) 2주차 : pytorch 3주차 : DL basic(~transformer, Genertive models) 4주차 : 기본 모델들(AlexNet ~EfficientNet, Semantic Segmentation, Object Detection ) * 짧은 소감 - 피어세션 딥러닝 기초 강의를 들으면서 생긴 질문들을 해결했다. 파이토치 코드에 대해 많이 질문했었다. 이번주 질문 내용을 아래에 정리..
-
[git] 기본 명령어 정리et al/Docker&git 2023. 11. 29. 13:08
* 변경된 파일을 stage area에 추가하는 법 git add * stage area에서 빼는 법 git reset * stage area에 있는 파일 커밋하는 법 git commit -m "메세지 내용" * stage area에 있는 파일 리스트 확인 git status * commit 로그 확인 git log # q를 눌러서 나온다. git log는 'less' 텍스트 파일 뷰어로 열린다. 'less'의 명령어는 'vi'의 명령어와 비슷하다. * branch 생성 git branch "브랜치 이름" * checkout head를 원하는 노드에 붙인다. git checkout * 병합 git merge
-
[리눅스 명령어] 파일/폴더 생성 및 삭제 방법et al 2023. 11. 29. 11:30
* 폴더 생성 mkdir * 파일 생성 1. tourch - 빈 파일 생성 torch 2. cat - 파일 생성 및 내용입력 cat > # 내용 입력 # 나올 땐 ctrl + d * 파일/ 폴더 삭제 rm * vi 편집기 명령어 정리 vi 파일명 # vi 편집기로 파일 열기 k : 위로 이동 j : 아래로 이동 i : 커서 앞에 글자 삽입 a : 커서 뒤에 글자 삽입 insert : 글자 삽입모드 esc : 명령 종료 편집기 저장 후 탈출 : ":wq" https://coding-factory.tistory.com/505 참고 https://scribblinganything.tistory.com/577
-
[git] vscode로 git commit 하는 법et al/Docker&git 2023. 11. 28. 13:51
https://uwgdqo.tistory.com/326 도커 우분투에 깃 설치 (docker installing git on ubuntu 18.04) 우분투 18.04 바이오닉에 깃(git)을 설치 바이오닉 비버(Bionic Beaver)는 우분투 18.04 LTS의 코드명이다. 요약하면 도커에서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아 다운 받은 이미지를 통해 컨테이너를 실행 하는 것 uwgdqo.tistory.com https://hoohaha.tistory.com/37 [GitHub] 깃허브 토큰(Token) 생성하는 법 여러 IDE에서 Token 로그인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토큰을 발급하고자 하였다. 해당 과정을 아래에 적어둔다. (참고) 토큰을 발급한 이후부터는 Git Bash에서 패스워드에 계정 비밀번호 대신 ..
-
[week3] 네부캠 ai tech 3주차 회고et al/AI Tech 6 2023. 11. 24. 22:45
2023.11.24. 금요일 네이버 부스트코스 ai tech 6기에 참여하고 3주가 흘렀다. 3주차 회고를 작성한다. 주차별 학습 내용 목차. 더보기 1주차 : 파이썬 기초 문법,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넘파이, 판다스, 기초 통계(MLE, 베이즈통계), 기초 선형대수학, AI기초(경사하강법, CNN, RNN) 2주차 : pytorch 3주차 : DL basic(~transformer, Genertive models) * 짧은 소감 - 피어세션 딥러닝 기초 강의를 들으면서 생긴 질문들을 해결했다. 파이토치 코드에 대해 많이 질문했었다. 피어세션 때 진행한 질문 몇 가지 기록용 더보기 질문1 : cnn코드에서 prev_hdim을 계산할 때 prev_hdim = prev_cdim*(self.xdim[1]//..
-
-
EMA(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 지수이동평균Mathematics/Calculus 2023. 11. 22. 22:45
* EMA(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 지수 이동 평균 각 날짜별 온도를 가지고 지수이동평균을 구하고자 한다. 현재의 지수이동평균값은 과거의 온도값의 영향에 가중치를 곱해서 구한 값이다. 즉 과거의 영향을 고려해서 값을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지수평활법(EMA)이 모든 과거 데이터를 고려하는 반면, 이동평균(MA)은 k개의 과거 데이터 포인트만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주식에서 5일 선, 120일 선 등은 MA를 말하는 것이고, 지수평활법에서는 모든 과거 데이터를 고려하므로, 5일 선, 120일 선 등의 표현은 조금 부적절해보인다.) theta는 1~100일의 현재 온도이고, v는 지수이동평균값을 의미한다. 가중치(혹은 모멘텀) beta를 0.9로 잡..